1.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유학박람회
어학연수나 유학을 가기 위해서 웹사이트를 서핑하다 보면 정리되지 않은 수 많은 정보들과 혹은 지나치게 과장된 정보들을 엄청나게 접하게 된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들도 많이 있지만 처음 알아보는 초보자의 입장에서는 핵심적인 정보를 찾기가 쉽지 않아서 결국은 고민 끝에 유학원을 찾아가 보려고 한다. 하지만 실제 유학원을 방문하는 것도 쉬운 것은 아니다. 인터넷처럼 한군데서 다 알아볼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어느 유학원이 과연 믿을 만 한 것인지 쉽사리 선택하기도 어렵고 종로나 강남 혹은 대학교 인근 등의 다양한 곳에 위치하고 있어서 다리 품을 팔아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시간도 아주 많이 소요하게 된다. 학교의 선택에 있어서도 실제로 외국의 학교
관계자들과 접촉을 해볼 수 있는 기회가 드물 뿐 더러
더듬거려야 하는 영어를 해야 한다는 두려움에 엄두도
못 내게 된다. 이러한 불편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유학박람회이다. 유학박람회는
주최하는 기관도 전문 박람회 주최업체에서부터 대형
유학원이나 각국의 교육원 등으로 다양하며 주제별로
여러 업체들을 한번에 접할 뿐 더러 다양한 자료들과
학비의 할인혜택까지 여러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유학박람회에서는 유학이나 어학연수 등의 정보 뿐
아니라 국제전화나 유학생보험, 환전 등의 다양한 관련
업체들도 참가를 하여 다양한 이벤트를 만날 수 있다.
요즘의 추세는 유학이나 어학연수와 더불어 이민
박람회를 동시에 주최하기도 한다.
|
2. 유학박람회
활용포인트
1) 포인트 하나 - 정보를 미리 간추려 가자
2) 포인트 둘 - 상담은 3-4 곳에서 받아보자
3) 포인트 셋 - 주변을 잘 활용하자 유학박람회에서는 기본적인 부스에서 하는 일반적인 사항뿐 아니라 세미나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도 있게 된다. 일반 부스에서는 원하는 정보를 구체적으로 물어볼 수 있고 세미나 등에서는 한가지 주제에 관해 집중적으로 설명해 주기 때문에 미리 세미나의 내용이나 시간 등을 잘 파악하고 가면 유용한 강의를 들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세미나에서 강의를 하는 사람들은 나름대로 권위가 있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유학이나 어학연수에 대한 정보도 중요하지만 실제로 유학이나 어학연수를 갈 경우 필요한 국제전화나 유학생보험이나 환전 등에 관한 것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4) 포인트 넷 - 자료를 잘 분료하자
5) 포인트 다섯 - 박람회는 끝나도 혜택은 계속된다. 박람회 때 주는 혜택들을 보면 반드시 박람회 때에 신청해야지만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기도 하지만 박람회가 끝나고 나서도 며칠 정도 혜택을 받을 수 있기도 하다. 상담을 할 때는 정말 혜택이 반드시 박람회에서만 적용되는지 꼼꼼하게 물어보고 반드시 그런 경우만 임시로 등록을 하도록 하자. 만일 며칠 정도 생각할 시간이 있다면 집에 와서 인터넷이나 다른 자료들을 보면서 잘 비교해보고 선택을 해도 늦지 않다.
|
3. 유학 박람회
어떤 것들이 있나?
(1) 해외 유학,어학 박람회(Korea Student Fair) - 서울/부산
(추천) (2) 해외 유학·이주박람회(Study Abroad and Emigration Fair)
- 대구 (3) 부산어학&해외유학박람회 - 부산 - 주관: 유로아트 (4) 캐나다 교육원 박람회 - 서울/대구(추천) (5) 호주 유학 박람회 - 서울(추천) - 주관: 호주교육원 (6) 영국 유학 | 조기유학 박람회 - 서울 (추천)
(7) 대형 유학원 주최의 박람회 - 주관: 각 유학원 2) 온라인 박람회 - 일반적인 검색엔진으로 유학원이나 학교를 찾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며 직접적인 종이로된 자료는 없지만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혜택들이 온라인 상으로 올라와 있다. 안방에서 온라인 상으로 여러 유학원이나 학교들을 한번에 살펴볼 수 있으며 오프라인 박람회와 보완되는 입장에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오프라인 박람회를 가기 전에 미리 정보를 제공받아서 가면 큰 도움이 된다. (1) 유학박람회(http://expo.youhak.com) (추천)
(2) 뉴스가이드(http://www.newsguide.net/) 포탈에서 출발한 웹사이트로 지역별, 특성별 유학원의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가별 학교의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박람회적인 성격보다는 포탈적인 요소가 많다. |